대부분의 환경에서 논리모델은 한글(혹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)로 표현하고 물리모델은 영문, 정확히는 영문 약어를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.erwin에서는 논리/물리 복합 모델을 지원하다 보니 논리명과 물리명을 보려면 논리와 물리화면을 왔다갔다 해야 됩니다.얼마전 까지만 하더라도, 이 기능은 논리모델과 물리모델이 별도의 파일로 분리되어 있는 다른 도구들에 비해서 erwin이 큰 장점이었습니다만, 최근에는 다른 도구들이 erwin처럼 복합 모델을 지원하고, 더불어 논리명과 물리명을 동시에 다이어그램에 표시하는 기능이 들어가면서 오히려 erwin의 약점이 되어 버린 상황이 되었습니다. 물론 erwin에서도 API를 사용하면 논리모델에서.......
↧